계약서 서류의 보존
제42조(계약 서류의 보존) 사용자는 근로자 명부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근로계약에 관한 중요한 서류를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.
근로기준법
사용자는 분쟁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근로자명부, 근로계약서, 임금대장 등 영으로 정하는 근로계약에 관한 중요한 서류를 작성하여 3년간 보존해야합니다.
이 서류들은 향후 노사간 분쟁의 발생을 예방 또는 해결하는데 필수적인 자료로서 근로자 권익보호와 경영상 리스크 해소에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됩니다.
보관해야 할 서류와 보존기간의 시작일
항목
|
보존기간(3년) 기산일
|
근로자명부
|
근로자가 해고되거나 퇴직 또는 사망한 날
|
근로계약서
|
근로관계가 끝난 날
|
임금대장
|
마지막으로 작성한 날
|
임금의 결정·지급방법과 임금 계산의 기초에 관한 서류
|
마지막으로 작성한 날
|
고용·해고·퇴직에 관한 서류
|
근로자가 해고되거나 퇴직한 날
|
승급·감급에 관한 서류
|
근로자가 해고되거나 퇴직한 날
|
휴가에 관한 서류
|
휴가를 완료한 날
|
탄력적·선택적 근로시간제, 근로 시간 특례 합의 등에 따른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서류
|
서면 합의한 날
|
19세 미만 연소자 고용시 연령을 증명하는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와 친권자 또는 후견인의 동의서
|
근로자가 18세가 되는날(18세가 되기 전에 해고되거나 퇴직 또는 사망한 경우에는 그 해고되거나 퇴직 또는 사망한 날)
|
근로자 명부
제41조(근로자의 명부) ① 사용자는 각 사업장별로 근로자 명부를 작성하고 근로자의 성명, 생년월일, 이력,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어야 한다. 다만,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용근로자에 대해서는 근로자 명부를 작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.
② 제1항에 따라 근로자 명부에 적을 사항이 변경된 경우에는 지체 없이 정정하여야 한다.
근로기준법
제20조(근로자 명부의 기재사항) 법 제41조제1항에 따른 근로자 명부에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적어야 한다.
1. 성명
2. 성(性)별
3. 생년월일
4. 주소
5. 이력(履歷)
6. 종사하는 업무의 종류
7. 고용 또는 고용갱신 연월일, 계약기간을 정한 경우에는 그 기간, 그 밖의 고용에 관한 사항
8. 해고, 퇴직 또는 사망한 경우에는 그 연월일과 사유
9. 그 밖에 필요한 사항
근로기준법 시행령
임금대장
제48조(임금대장 및 임금명세서) ① 사용자는 각 사업장별로 임금대장을 작성하고 임금과 가족수당 계산의 기초가 되는 사항, 임금액,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임금을 지급할 때마다 적어야 한다.
②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는 근로자에게 임금의 구성항목ㆍ계산방법, 제43조제1항 단서에 따라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의 내역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은 임금명세서를 서면(「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」 제2조제1호에 따른 전자문서를 포함한다)으로 교부하여야 한다.
근로기준법
제27조(임금대장의 기재사항) ① 사용자는 법 제48조제1항에 따른 임금대장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근로자 개인별로 적어야 한다.
1. 성명
2. 생년월일, 사원번호 등 근로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
3. 고용 연월일
4. 종사하는 업무
5. 임금 및 가족수당의 계산기초가 되는 사항
6. 근로일수
7. 근로시간수
8. 연장근로, 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시킨 경우에는 그 시간수
9. 기본급, 수당, 그 밖의 임금의 내역별 금액(통화 외의 것으로 지급된 임금이 있는 경우에는 그 품명 및 수량과 평가총액)
10. 법 제43조제1항 단서에 따라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에는 그 금액
② 사용기간이 30일 미만인 일용근로자에 대해서는 제1항제2호 및 제5호의 사항을 적지 않을 수 있다.
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제1항제7호 및 제8호의 사항을 적지 않을 수 있다.
1. 법 제11조제2항에 따른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의 근로자
2. 법 제63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
근로기준법 시행령
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할 때마다 임금대장을 작성하여 3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.
임금대장에 포함될 내용은 분쟁 예방·해소에 필수적인 성명, 생년월일, 사원번호, 임금 등 시행령에 규정되어 있습니다.
구분
|
생략해도 되는 내용
|
일용근로자
|
근로자 정보와 임금 및 가족수당의 계산기초가 되는 사항
|
5인 미만 사업장
|
근로시간수, 연장·야간·휴일 근로시간수
|
감시·단속 근로자 및 관리·감독·기밀 업무 종사자, 농림·축산·수산·양식 사업 종사자
|
근로시간수, 연장·야간·휴일 근로시간수
|
임금대장은 수기 외에 컴퓨터 등 전자문서로도 작성 가능합니다.
파일로 보관했어도 해킹, 바이러스 등으로 문서를 확인할 수 없다면 법 위반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.
'근로기준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로기준법상 상시근로자수와 고용보험법 우선지원대상기업 여부 상시근로자수 산정방법의 차이(근기법, 고용보험법, 국가지원금) (0) | 2022.03.22 |
---|---|
[안양노무사]근로시간 총정리.(휴게시간, 탄력근로시간제, 선택적근로시간제, 간주근로시간제, 재량근로시간제, 특별연장근로, 추가연장근로, 특례업종) (0) | 2022.03.17 |
미용실·학원·헬스클럽·피트니스·예식장 등에서 근로자와 프리랜서의 차이와 계약서 예시 1. (근로계약서, 업무위탁계약서) (0) | 2022.03.12 |
지각, 조퇴, 결근에 대한 업무처리 방법 (0) | 2021.08.06 |
법정근로시간, 소정근로시간, 표준근로시간, 통상임금 산정기준 시간, 최저임금 적용기준 시간 (0) | 2021.07.27 |